연준 이르면 3월 금리인상 연준 이사의 발언 - 금일 환율 전망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 뉴욕증시가 하락하는 등 글로벌 위험선호 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 

신종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 주요국 긴축 전환에 이어 미국도 내년 3월

금리 인상을 시작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번진 탓입니다. 이에 95선으로 내렸던 달러 인덱스가 96선으로

상승, 미 달러화 강세가 이어지면서 원.달러 환율도 사흘 만에 상승 전환해 1180원대 중후반으로

오를 것으로 보인다고합니다.

 

20일 서울 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 차액결제 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 물은 

1187.90원에 최종 호가되었습니다.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 뉴욕증시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습니다. 이는 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메시지에 더해 겨울철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번지면서 위험선호 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탓으로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선물의 만기가 도래한 '마녀의 날'까지 겹쳐 변동성이 더 커졌습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내년 3월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종료 직후 곧 금리를 인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언하며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테이퍼링 종료와 동시에 이뤄질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비둘기파(통화 완호 

선호)로 분류되는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역시 기존 입장을 바꾸고 "내년 미국 경제가 예상대로 

성장세를 유지한다면 2~3회 금리인상이 타당하다"라고 밝혔습니다. 

 

 

오미크론의 확산세 역시 당초 예상보다 빠른 속도를 보여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16일(현지시간) 기준

뉴욕주에서 하루 기준 역대 최다인 2만 1027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보고되는 등 오미크론 변이가 가파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 알레르기 전연병연구소(NUAID) 소장은 "오미크론에 대해 매우

분명한 한 가지는 그것의 놀라운 확산 능력과 전염력이고 여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라며 "오미크론이 전

세계에서 급속하게 번지면서 이번 겨울이 힘든 시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영향에 미 달러화는 다시 강세로 돌아섰습니다. 

 

국내 증시는 외국인 투자자의 동향에 주목하며 움직이겠으나 글로벌 위험선호 위축, 국내 코로나19 상황 등을

반영하면서 하락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합니다.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엔 외국인 코스피 시장에서 5100억 원가량

사들이면서 지수도 전장 대비 0.38% 오른 3017.73으로 마감해 3000선을 지켰습니다. 반면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은 300억 원가량 팔면서 지수도 0.65%가량 내렸습니다. 이날 외국인이 코스피 시장에서 순매도세로

전환한다면 간신히 지킨 3000선을 다시 내어줄 수도 있다고 합니다. 국내 증시가 하락한다면 환율 상승에 일조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국내증시가 상승흐름을 지켜낸다면 환율 상단을 누르는 재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미크론 치명률 높지 않다는 소식에 반등 - 12.7 환율 동향

 

 

 

원. 달러 환율이 뉴욕증시 상승 등 위험선호 심리 반등에 1180원대 초중반 중심의 박스권 등락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일본 엔화, 스위스 프랑 등이 위험 자산 선호에 미 달러화 대비 하락하면서

주요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소폭 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연말 수출업체의

네고(달러 매도) 물량이 쌓여있는 데다 국내 증시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도 유입될 수 있어서입니다.

7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 차액결제 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 물은

1181.20원에 최종 호가됐습니다. 최근 1개월 물 스와프포인트가 0.60원이란 점을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183.00원)보다 2.40원 하락한 1180.60원에 개장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간밤 뉴욕증시는 신종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이 확산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치명률은 높지 않다는 소식에 더 주목하며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미 달러화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강보합 흐름을 이어가고 있고

미 국채 10년 물 금리도 1.4%대로 올라섰습니다.

 

달러화의 강보합 유지 흐름에도 중국이 지준율을 0.50% 포인트 인하하면서 글로벌 위험 선호 심리를

떠받친 점이 이날 환율의 하락 압력을 키울 것으로 보인 다고 합니다. 지난 6일 중국 인민은행은 

오는 15일부터 지준율을 0.5% 포인트 인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중국의 지준율 인하 이후에는 신용 확장 여부가 관건이나 헝다그룹의 채무불이행(디폴트) 리스크가

완화되면서 국내 증시도 이에 상승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전일 외국인 투자자는 코스피 시장에서 600억 원 순매수하면서 지수도 전일 대비 0.17%가량 

올랐습니다. 반면 코스닥 시장에서는 2600억 원가량 팔면서 지수는 0.66%가량 내렸습니다.

 

수급 측면에서는 연말 수출업체들의 네고(달러 매도) 물량이 많이 쌓여있어 분위기 상 우위를 

점할 수 있으나 수출업체의 결제(달러 매수)도 꾸준히 대응하면서 이날 환율은 1189원대 

초중반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8.3 금값 어디까지 갈까?

 

 

 

 

금값이 7월 한 달 동안 10.3% 급등하면서 금값이 온스당 2000달러를 돌파한 가운데 인플레이션이 금값

상승에 또 다른 동력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2일 현대 경제연구원은 '금 온스당 2천 달러 진입과 시사점'보고서를 내고 미래 화폐가치가 하락할 것에 대비하는

'인플레이션 헤지(회피)' 수요 때문에 앞으로 금 가격이 더 오를 수 있다며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인플레이션 헤지는 앞으로 화폐가치가 떨어질 것에 대비해 자금 일부를 화폐와 비슷한 가치가 있는 자산으로

바꿔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금 가격은 지난달 29일 온스당 1970.8달러를 기록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8일 온스당 1808.9달러러 2011년 8월 이후 처음 1800달러를 진입한 지 한 달 도 되지 않아 역대 최고 수준으로 뛰어올랐습니다. 

연구원은 '최근 금 가격 상승은 과거 금값 상승기에 나타난 세계 실물경제 지표 악화, 달러화 약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완화적 통화정책 등과 그 배경이 유사하다'라고 분석했습니다. 동시에 '자산 가격 상승과 인플레이션을

회피하려는 수요 등도 최근 금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했기에 금값이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진단했습니다. 

또 '실수요 증가에 따른 물가 상승과 과잉 유동성으로 인한 자산 인플레이션 현상을 구분해 대처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이 요구된다'며 '경기 회복 시점을 진단하고 효과적으로 유동성을 흡수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고 밝혔습니다. 

연구원은 코로나 19 이후의 경기 전망에 대해서는 '금융시장은 상승하는데 실제 실물 경제가 뒷받침해 주지 못하면

후에 자산가치 급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이로 인한 또 다른 경제 위기가 오거나 경기 회복이 늦어질 수 

있기 때문에 면밀하게 지켜봐야 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원달러 환율

 

지난 31일 원. 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3.10원 내린 1191.30원에 마감했습니다.

글로벌 약달러를 반영해 전일대비 2.90원 하락한 1188.50원에 출발해 장 초반 1186.60원까지 저점을

낮췄지만 결제와 저가매수 수요 유입에 하단이 제한됐습니다.

미중간 갈등 격화 조짐이 계속되고 있는 것도 환율 상승 요인입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 며칠 안에 중국 공산당과 연결될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시되는 광범위한 국가 안보 위험에 대해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측 정보 유출을 문제 삼아 틱톡에 밝힌 미국 내 사용 금지 조치가 확대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의 국가신용 등급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한 가운데 약 달러 기조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하락 흐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31일 역외 차액결제 선물환(NDF) 시장에서 원. 달러 1개월 물은 1194.40원에서 최종 호가됬습니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0.05원)를 고려하면 전 거래일 서울 외환시장 현물환 종가(1194.45원)와 비교해

3.15원 상승(원화가치 하락) 한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