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역 지구단위계획 온라인 열람서비스 가능
서울시가 지구단위계획 정보를 볼 수 있는 '지구단위계획 온라인 열람 서비스'를 3월 2일부터 서울 전역으로
확대한 다고 합니다. 서울 도시계획 포털 내 지도 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지난해 시범 서비스한 13개 자치구에서 25개 자치구로 대상을 넓혔습니다. 이번에 추가된 12개 자치구는
강동, 강북, 강서, 광진, 구로, 금천, 노원, 도봉, 동대문, 서대문, 송파, 중랑구입니다. 25개 차지고 총 552구역
(109 km2)의 '지구단위계획'을 쉽고 빠르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재정비 촉진지구, 재개발-재건축 같은 정비사업구역뿐 아니라 역세권 청년 주택 사업부지 등 지구단위계획과
관련한 모든 구역과 해당 정보가 포함됩니다.
'지구단위계획'은 역세권, 재개발-재건축 구역 등 주요 부지의 건축물 용도, 용적률, 건폐율, 높이 등을 정한
도시관리계획입니다. 시는 지난 19년부터 '지구단위계획'정보를 DB(데이터베이스)화해 문서, 도면 등
약 11만 건의 자료를 구축, 서울전역의 '지구단위계획 온라인 열람 서비스'를 2년여 만에 완성했습니다.
서울 도시계획 포털 내 지도에서 검색하고 싶은 주소를 입력하면 클릭 한 번으로 해당 필지로 이동, '지구단위계획'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된 고시문, 조서, 도면, 지침 등도 바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건축물, 주변 지형, 지물 등이 담긴 지도를 통해 건축한계선, 공개공지 등 필지별 공간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역여건을 모르는 사람은 항공사진으로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지구단위계획 온라인 열람 서비스는 인터넷 웹 기반으로 설계돼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이 필요없습니다.
PC 및 모바일로 회원가입 없이 바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서울시 도시관리과장은 "녹지, 공원 등을 제외한 서울시 시가화 면적의 30%에 적용되는 방대한 도시계획 정보인
지구단위계획을 2년여간의 DB화를 통해 드디어 온라인을 통해 공개하게 됐다"며 "전산화된 지구단위계획 정보는
도시계획 관련 업무뿐 아니라, 부동산 거래, 건축 인허가, 관련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에도 시민들이 정보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들섬 3월부터 본격 운영 시작 - 전시 & 페스티벌 (0) | 2021.03.05 |
---|---|
장기안심주택 입주자 모집 - 보증금 30%, 10년 무이자 지원 (5) | 2021.03.04 |
제로페이로 따릉이 30%할인 받기 (0) | 2021.03.01 |
개학 초 어린이보호구역 불법 주-정차 집중단속 (0) | 2021.03.01 |
무급휴직 고용유지지원금 접수 3월부터 (2) | 2021.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