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0 하반기 금값 전망

 

 

 

한국은행은 9일 국제 금값이 한동안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은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이달 4일 현재 온스당 2019.21달러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확산 전인

올해 1월 1일과 비교했을 때 33%나 올랐습니다. 

실질 금리 하락과 미 달러 약세 등의 영향입니다. 

미 10년물 물가연동 국채(TIPS) 수익률(실질금리)은 올해 3월 이후 마이너스(-)로 전환한 뒤 지난달 31일 현재 -1.0%로,

2012년 12월 이후 가장 낮은 지점까지 떨어졌습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한 달러 인덱스는 6월 말 (97.4) 이후 하락 폭이 커지면서 이달 3일 현재 93.5까지 내렸습니다. 

한은은 '주요국에서 완화적인 통화 정책을 이어가면서 당분간 유동성이 풍부할 것'이라며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금 가격이 중기적으로 강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다만 일부 투자은행(IB)들은 금값이 3분기 이후 소폭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현 단계에서 실질 금리의 

추가 하락 가능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한으네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온스당 금값이 3분기에 1950달러, 4분기에 2100달러에 이를 것으로 봤습니다. 

시티은행은 3분기 1825달러, 4분기 1850달러로 예상했고, JP모건은 같은 기간 1933달러, 1880달러로 전망했습니다. 

 

 

유가폭락으로 사우디 아람코 2분기 순이익 하락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과 국제 유가 폭락으로 인해 올해 

2분기(4~6월) 당기순이익이 전년동기대비 73% 급감했다고 9일(현지시간) 공시했습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아람코의 2분기 순이익은 246억리얄(약 7조 8000억 원)로 집계돼 전년 동기 대비 

73.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분기 순이익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아람코는 '코로나19대유행에 따른 수요 감소와 유가 하락, 정제. 석유화학 이윤의 감소로 순이익이 

줄어들었다'면서 '각국이 봉쇄를 완화하고 경제 활동을 재가동하면서 에너지 시장이 부분적으로 회복되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순익 감소에도 아람코는 2분기 배당금이 187억 5000만 달러라고 발표하고 올해 전체 750억 달러

배당 계획은 그대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아람코 지분의 98%는 사우디 정부가 보유하고 있어

배당금 대부분이 사우디 정부로 향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6월 아람코는 배당 계획을 이행하기 위해

추가 채권을 발행하거나 대출을 받을 수 있다고 한 바 있습니다. 

아람코는 지난해 12월 사우디 리야드 타 다운 주식시장에 상장돼 세계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기업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 19 여파로 주가가 떨어지면서 이달 초 애플에 세계 시총 1위 자리를 

빼앗겼습니다. 

 

오늘의 금값 시세 6.1

 

 

 

원자재, 국제유가 금값 흐름 예상

 

올해 2분기에는 국제유가와 금 가격의 동반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28일(현지시간) 뉴욕 상업거래소( NYMEX)에서 7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2.7%(0.90달러) 급등한 33.71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온스당 0.1%(1.50달러) 오른 1728.3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국제유가는 2분기 저점을 찍고 향후 상승흐름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었습니다. 

다만 6월 국제유가 상승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배역 창 KB증권 연구원은 '지난 22일 기준 WTI 가격은 4월 말 대비 76.5% 상승했는데, 이는 단기 상승폭으로 보면 작지 않은 수준'이라며 '6월 국제유가는 보합 국면을 보일 텐데 추가적인 원유 수요 개선 등은 긍정적이지만 WTI 가격 상승에 미치는 영향력은 작아질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앞으로 바닥을 치고 상승국면으로 접어들텐데 미국 원유 생산 및 상업용 원유재고 감소가 지속될 것'이라며 '미국과 유럽의 이동제한 조치 완화에 따른 원유 수요 개선이 예상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유가 상승은  OPEC+(OPEC과 10개 주요 산유국의 연대체) 회원국과 미국 원요 생산업체들의 감산 등 공급 측면이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내 원유 재고와 글로벌 해상 저장량도 5월을 기점으로 감소하고 있어 올해 상반기까지 국제유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주간 추정 원유 생산량은 지난 3월 기준 하루에 1300만 배럴에서 1150만 배럴까지 감소했습니다. 

국제 유가는 코로나19로 인해 석유수요가 급감했지만 4월 하순에서 5월 초순 경부터 석유수요의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들이 바닥을 찍고 다시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고 있습니다. 

박광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코로나 19와 미중 무역 분쟁 리스크가 남아있지만 올 하반기에는 수요 회복으로 수급 밸런스가 개선되며 배럴당 30~40달러의 유가를 기로 할 것'이라며 '오는 11월 미국 대선과 주요국의 재정정책 실시로 원유 수요가 증가하면 WTI 국제유가는 다시 50달러 선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의 경우 현재로선 비교적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중입니다. 주요국들의 팽창적 통화정책으로 글로벌 통화량 증가가 예상되며 금의 상대적 가치가 부각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주요국은 막대한 재정지출과 유동성 공급을 진행하고 있으며 통화량 증가로 인한 달러의 실질가치 하락에 대한 우려가 점차 커지면서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승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금 가격은 6월까지 상하단이 제한되며 1680~1740달러 범위내에서 횡보세를 보일 것'이라며 '금 가격의 장기 추세는 달러의 실질가치를 나타내는 미국 실질 금리, 단기 변동을 달러지수로 측정한 상대가치와 불확실성에 의해 결정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현재 미중 갈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높지만 기타 요인들의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낮은편'이라며 '예컨대 금 연간 생산량은 기생 산량의 약 2.5% 수준으로 큰 변동이 없기 때문에 금에 대한 투자 전략 수립 시 변동성이 높은 달러 요인들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잠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금값 시세 6.3  (1) 2020.06.03
오늘의 금값시세 6.2  (2) 2020.06.02
오늘의 금값 시세 5.29  (4) 2020.05.29
오늘의 금값 시세 5.28  (4) 2020.05.28
오늘의 금값 시세 5.27  (4) 2020.05.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