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통화강세 영향 받은 오늘의 환율 전망

 

 

원/달러 환율이 유럽 통화 강세에 약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할 전망입니다.

이날 달러화는 미국 경제지표가 혼재된 결과를 보인 가운데 파운드화와 유로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소폭 상승 출발할 것으로 보인 다고 합니다. 

 

영란은행(BOE)이 3년 만에 정책금리를인상했고, 유럽 중앙은행(ECB)도 출구 전략을 제시하면서

주요국 통화정책이 긴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금리 인상도

내년 세 차례로 예상되는 등 주요국의 긴축 전환에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위험선호 심리가 위축되는

분위기입니다. 영국 파운드 등에 밀려 미 달러인덱스가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원화 대비로는 우위를 나타내

원-달러 환율이 하루 만에 상승 전환, 1180원대 중후반으로 오를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17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 차액결제 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 물은 1185.50원에

최종 호가됐습니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가 -0.60원이란 점을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183.90원)

보다 2.20원 상승 출발할 것으로 보인 다고 합니다. 

 

간밤 뉴욕증시는 주요국의 긴축 급선회에 하루 만에 하락했습니다. 전날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공개 뒤 불확실성 해소에 반등했지만, 영란은행이 기준 금리를 0.1%에서 0.25%로 0.15% 포인트

깜짝 인상에 나서면서 시장의 위험선호 분위기가 위축된 영향입니다. 16(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0.08% 하락 마감했습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0.87%,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2.47% 각각 내리면서 전날 상승분을 반납했습니다. 

 

유럽 중앙은행은 정책금리를 0%로 동결했으나 팬데믹 긴급매입 프로그램(PEPP)의 대응 채권 매입규모를 

축소, 내년 3월에는 대응채권 매입을 중단하겠다고 밝히면서 긴축으로 한 발짝 움직였습니다. 

다만 미 달러화는 유럽권의 긴축 전환에 상대적 약세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요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미 달러 인덱스는 16일(현지시간) 오후 6시께 전장 대비 0.52포인트 하락한 95.99로 내리면서

95선으로 레벨을 낮췄습니다. 미 국채 10년 물 금리는 1.424%를 나타내며 1.4%대 초반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가 이틀 여만에 3000선을 회복하는 등 반등했던 국내 증시는 외국인 투자자의 동향에 따라 방향성이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위험선호 심리 약화를 반영해 다시 하루 만에 하락 전환한다면 원화 약세

압력을 키우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전날엔 외국인 투자자가 코스피 시장에서 1900억 원가량 사들였는데

이에 코스피지수도 전장 대비 0.57% 오른 3006.41로 마감해 3000선을 회복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에도 외국인은 100억 원가량 사면서 지수도 0.43%가량 상승 마감했습니다. 

다만 수급 측면에서는 연말을 앞둔 네고(달러 매도) 물량이 쌓여 있는 경계감은 상단을 억제할 것으로 보여

이날 환율은 1180원 중반 중심에서 등락할 것으로 보인 다고 합니다. 

 

 

 

 

 

 

미-긴축, 영-오미크론 첫 사망... 12.14일 환율/국제 유가 전망

 

환율 전망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긴축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더 빨라질 수 있단 우려에 뉴욕증시는 하락하며

위험선호 심리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반면 미 달러화는 96선에서 상승하며 강세 폭을 키웠습니다. 

오미크론 관련 공포감도 재점화되면서 전일 약보합권에서 마감한 원-달러 환율도 하루 만에 상승 전환,

1180원대 초중반으로 올라설 전망이라고 합니다.

 

14일 서울 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 차액결제 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 달러 1개월 물은 

1185.00원에 최종 호가됐습니다. 최근 1개월 물 스와프포인트가 -0.20원이란 점을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180.80원)보다 4.40원 상승 출발할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간밤 뉴욕증시는 우리 시간 16일 새벽 4시께 발표되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예상 시점이 더 앞당겨질 수 있다는 우려와 오미크론 공포 등에 하락 전환했습니다. 

13일(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0.89% 하락 마감했고,

전날 최고가를 경신했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도 0.91%가량 떨어졌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39%가량 밀린 채로 마감했습니다. 

위험 선호 심리가 하루 만에 위축된 것은 연준의 통화정책 긴축 전환 속도가 시장의 당초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진 탓이라고 합니다. 채권 매입 축소 규모를 300억 달러로 늘리면서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종료 시점이 내년 3월로 앞당겨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등 미국 정치권에서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등을 이유로 연준에 대해 매파적 스탠스를 요구하면서 내년 조기 금리 인상 시점이 더

빨라질 수 있단 우려가 커졌습니다. 

 

영국에서 최초로 오미크론 감염에 의한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보리스 존스 총리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나섰습니다.

영국은 40세 이상으로 한정했던 부스터 샷 접종 대상을 18세 이상으로 낮추고 이달 말까지 접종하도록

권고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등 2차 접종으로 형성했던 기존 방역 효과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감도 더해지면서 달러화 강세도 힘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 증시도 글로벌 위험선호 위축, 코로나19 상황, 미 연준의 긴축 분위기 고조 등에 영향을 받으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도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 다고 합니다. 전날 외국인 투자자는 코스피 시장에서 

장 초반 순매수 흐름을 보이다가 매도로 전환해 1300억 원가량 팔면서 지수는 0.28%가량 하락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이 620억 원가량 내던져 지수는 0.55%가량 내렸습니다. 국내 증시의 외국인

투자자 순매도 연장이 이어진다면 환율 상승에 힘을 보탤 것으로 보인 다고 합니다. 

 

수급 측면에서는 수입업체의 결제(달러 매수), 수출업체의 네고(달러 매도) 물량이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연말이 다가오면서 그간 쌓여 있던 네고 경계감이 적지 않아 이날 환율은 1180원대 초중반에서 등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국제 유가

 

수입물가가 국제유가 하락 영향에 7개월 만에 꺾였습니다.

수입물가가 정점을 찍고 본격 하락세로 접어들었는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입니다. 

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2015년 기준 100)는 130.17로 전월 대비 0.6% 하락했습니다. 

지난 10월까지 6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한 후 하락세로 전환했습니다. 다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35.5%

상승했습니다. 

 

국제 유가의 하락세가 이어진 가운데 광산품을 중심으로 원재료 가격도 떨어진 영향이라고 합니다. 

지난달 수출물가지수는 115.80으로 전월 대비 1.0% 하락했습니다. 11개월 연속 상승한 후 하락세로

전환했습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25.5% 올랐습니다. 

원. 달러 환율은 보합세를 기록한 가운데 농립 수산품 공산품이 하락한 영향입니다. 

 

수입물가가 정점을 찍고 하락세로 본격 전환한 것인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판단이 우세하고 있습니다. 

최진만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 팀장은 "수입물가가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광산품이나 제1차

금속제품 중심으로 내렸다"며 "정점을 찍고 하락한 것인지는 판단하기 어려울 거 같다"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유가는 12월 들어서도 전월대비 기준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원자재도 떨어지고 있는

만큼 추이를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습니다. 

 

 

 

 

 

 

1.11 국내 금값시세, 원.달러 환율 동향

국내 금 가격은 2.05% 하락했습니다. 

 

증시가 연일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음에도 안전자산인 달러는 추가 하락을 멈추고

상승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달러 인덱스가 90선을 회복했습니다. 원. 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상승 출발이 예상됩니다. 국내 증시가 고점을 높일 가능성이 있지만 원.달러 환율은 1090원 초중반대에서

움직임을 좁힐 것으로 보입니다. 역외에선 달러 매도보다 달러 매수 플레이가 더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뉴욕 차액결제 선물환(NDF) 시장에서 원. 달러 1개월 물은 1092.65원에

최종 호가 됐습니다. 1개월 물 스와프포인트(-0.25포인트)를 고려하면 전 거래일 종가 

(1089.80원)보다 3.10원 상승 출발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날 발표된 미국 비농업 부문 고용이 14만 명 감소해 시장 예상치(5만 명 증가)에 크게 

못 미쳤을 뿐 아니라 작년 4월 이후 첫 감소세를 보였음에도 증시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더 세질 것이란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도 1.119%로 1% 돌파

이후 추가 상승세(채권 가격 하락)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더 큰 규모의 재정 부양책이 

도입되고 국채 발행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에 따른 것입니다. 

이런 분위기와 달리 달러는 상승세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달러 인덱스는 90선을 회복했습니다. 

10년 물 국채 금리 상승으로 국채 투자 가능성, 유로화 약세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이날 국내 증시가 고점을 높이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하더라도 원. 달러 환율은

하락보다는 상승에 무게가 더 쏠리고 있습니다. 

북한이 미국은 '최대의 주적'으로 규정하며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핵능력을 계속 개발하겠다고

밝힌 점 역시 환율 상승을 지지합니다. 조 바이든 새 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압박 수위를 

높여 기선제압에 나서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