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언어 - 3탄

 

대외의존도

 

: 국민경제가 가계, 기업, 정부 이외에 국외부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되는 경제체제를 개방경제체제라고 한다. 

 

대외의존도란 개방경제체제 하의 국민경제에서

국외부문과의 거래가 차지하는 크기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구체적으로 대외의존도는 국민소득에서 수출과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계산된다. 

이때 국민소득 지표로 우리나라는 공식적으로 국민총소득(GNI)을 이용하나

분석 목적에 따라 국내총생산(GDP)을 쓰기도 한다.

 

대외의존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국외부문의 여건 변화가 한 국가의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됨을 의미한다. 

 

세계화 시대에서 경제의 대외의존도 확대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나 지나치게 높은 대외의존도는 궁극적으로 국민경제의 구조적

불안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위험 또는 포함하고 있다. 

 

 

대체재

: 비슷한 만족을 얻을 수 있어 서로 경쟁 관계에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말한다. 

핫도그와 햄버거, 스웨터와 셔츠처럼 어느 한 제품이 다른 제품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을 때

이 두 제품은 서로 대체관계에 있다고 한다. 

 

또한 두 제품 중 어느 한제품의 가격 상승이 다른 재화의 수요 증가를 초래할 때

이 두 제품은 서로 대체관계에 있다고 한다. 

 

비싸진 삼겹살 대신 닭고기를 구매 했다면 이들 두상품은 서로 대체재이다.

 

다만, 이 같은 구분은 사람들의 평균적인 소비행태에 기초한 것이므로

사람에 따라서는 다르게 느낄 수도 있다.

 

더블딥

경기가 두번 (double) 떨어진다(dip)는 뜻으로, 경기침체가 발생한 후 잠시 경기가 회복되다가

다시 경기침체로 접어드는 연속적인 침체 현상을 의미한다. 

 

더블딥(double dip)은 2001년 미국 모건스탠 리사의 이코노미스트였던 로치(S. Roach)가 

미국 경제를 진단하면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경기순환의 모습이

영문자 "W"를 닮았다 해서 "W자형 경기변동"(또는 "W자형 불황")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경기침체는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는 경우를 말하므로

더블딥은 경기침체가 발생하고 잠시 회복 기미가 관측되다

다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에 빠지는 것으로

1980년대 초 있었던 미국의 경기침체는 더블딥의 예로 자주 거론된다.

 

당시 미국경제는 석유파동의 영향 등으로 1980년 1월부터 7월까지

침체에 빠졌으나 이후 1981년 1/4분기까지 빠르게 성장하였는데,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제압하기 위하여 금리를 빠르게 올림에 따라

1981년 7월부터 1982년 11월까지 다시 불황에 빠지는 경기침체를 경험한 바 있다. 

 

 

 

디커플링(decoupling)

: 탈동조화라고 번역할 수 있는데, 어떤 나라나 지역의 경제가 인접한 다른 국가나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흐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의 디커플링의 예로는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가나 유로지역 국가 등이 특히 미국 경제와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주가나 금리, 환율 등 일부 경제 변수의 흐름이 국가 간 

또는 특정국가내에서 서로 다른 흐름을 보이는 현상도 디커플링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 간의 경우 미국의 주가와 한국의 주가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한 국가 내에서의 경우 주가가 하락함에도 해당국 통화가 강세 현상을 보이는 

경우 등을 말한다. 

 

반대로 한 나라 또는 지역의 경제가 인접한 다른 국가나

세계경제 흐름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는 것을

커플링(동조화, coupling)이라 한다. 

 

 

디플레이션(deflation)

: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디플레이션 하에서는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로 하락하는 인플레이션이 나타난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은 생산물의 과잉공급, 자산거품의 붕괴,

과도한 통화 긴축정책, 생산성 향상 등 다양하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유통되는 통화의 양이 재화 및 서비스의 양보다 적기 때문에

화폐가치는 상승하고 반대로 물가는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이 발생한다는 점에 이견이 없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통화의 가치는 상승하고 실물자산의 가치는 하락함에 따라

인플레이션과 반대 방향으로 소득 및 부의 비자발적 재분배가 발생한다. 

 

이외에도 실질금리 상승에 따른 총수요 감소, 실질임금 상승에 따른 고용 및 생산 감소,

소비지출 연기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 부채 디플레이션에 따른 총수요 감소,

통화정책 및 재정정책등 정책적 대응 제약,

디플레이션 악순환 가능성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

: 안정성을 추구하는 저축과 달리 투자에서는 종종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한다.

 

금융에서는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현상을 지렛대에 비유하여

레버리지로 표현한다.

 

투자에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려면,

즉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나려면, 투자액의 일부가 부채로 조달되어야 한다. 

 

레버리지 효과는 총투자액 중에서 부채의 비중이 커지면

(자기 자본의 비중이 작아지면) 증가하게 된다.

 

우너 천적으로 레버리지가 내재한 투자의 예로,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한 경우를 상정하자.

 

10억 원인 아파트를 8억 원의 전세를 끼고 자기 자본 2억 원으로 매입하였다면,

투자 레버리지(=총투자액/자기자본)는 5배(=10억 원/2억 원)가 된다.

 

이후 집값이 10%상승하여 11억 원이 되면 자기 자본 2억 원에 대한 투자수익률은 실제 

가격변동률(10%)의 5배인 50%가 된다. 

 

만일 집값이 30%하락하여 7억 원이 되면 투자수익률은 실제 가격변동률(-30%)의

5배인 -150%가 되어 집값이 전세값에도 못 미치는 소위 '깡통전세'로 전락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리지에 의해 손익이 확대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레버리지는 

'양날의 칼'에 비유되기도 한다. 

 

1977년말 한국에 외환위기가 닥쳤을 때 많은 사업자와 기업이 파산하게 된 원인 중

하나가 높은 부채비율로 인한 레버리지였다.

 

그러므로 투자를 할 때는 감내할 만한 수준 이내로 부채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