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현황 및 원유 , 환율 변동

뉴욕 증시 현황 및 유가 변동 

 

미국 뉴욕 증시가 급락했습니다. 코로나 신종 변이 '오미크론(Omicron)'의 등장 소식에 

투자 심리가 급격하게 위축됐습니다. 

26일(현지시간) 이날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53% 하락한 3만 4899.34에 마감했습니다. 3만 5000선이 깨졌습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2.27% 내린 5494.62 거래를 마쳤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23% 하락한 1만 5491.66을 기록했습니다. 월가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 옵션거래소 변동성 지수는 무려 54.04% 급등한 28.62를 나타냈습니다.

전날 뉴욕 증시는 추수감사절 연휴로 폐장했습니다.

이번 주말까지 사실상 연휴 시즌이 이어지기 때문에 이날 역시 평소보다 3시간 이른 오후 1시에 문을

닫았습니다. 거래량이 줄어들 거란 예상을 깨고 오미크론 변이 공포로 인한 매도세가 이어졌습니다. 

이날 세계보건기구(WHO)는 남부 아프리카 지역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 변이 바이러스를

'우려 변이(variant of concern)'로 분류하고 이름을 오미크론으로 지정했다고 밝혔습니다. WHO는

"예비 증거에 따르면 이번 변이가 다른 우려 변이와 비교해 재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오는 29일부터 남아공을 비롯해 보츠와나, 짐바브웨, 나미비아, 레소토, 에스와 티니, 모잠비크,

말라위 등 8개 아프리카 나라들에서 오는 외국인의 입국을 제한한다고 밝혔습니다. 

유럽연합(EU) 행정부 수반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남부 아프리카와 새 변이가 발견된 다른 국가에서 오는 여행에 대한 비상 제동 조치를 가동해야 한다"라고

각 회원국들에게 제안했습니다. 영국, 독일, 이탈리아, 체코, 네덜란드, 스페인, 오스트리아 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인근 국가에서 오는 항공편 중단과 자국민 외 입국 금지, 격리 등의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주요 항공주가 급락했습니다. 델타항공(-8.32%), 아메리칸항공(-8.79)등의 주가가 

폭락했고 항공기 제조사 보잉은 5.41% 떨어졌습니다. 

수요 급감 우려로 원유 가격은 하락했습니다.

이날 미국 뉴욕 상업거래소에서 1월 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13.06% 폭락한 배럴당 68.15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안전자산 미국 국채 가격은 상승했습니다(국채금리 하락). 미국 10년 물 국채금리는 장중 1.485%까지 내렸습니다.

미국 국채로 돈이 몰리자 금리가 급락했습니다. 

짐 리드 도이체방크 전략가는 "지금 단계에서는 알려진 게 거의 없다"면서도

"현시점에서는 많은 우려가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반면 BNY멜론 인베스터 설루션의 아진 오덴은 "(연휴 기간에 따른) 적은 거래량이 폭락을 초래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보면 지금이 매수 기회"라고 말했습니다. 

 

 

 

환율 현황 및 전망

 

원. 달러 환율이 3원가량 올라 1190원 대 초반에 안착하며 한 달 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2 거래일 연속 1190원대 마감입니다. 미 국채 금리의 하향 안정세로 달러화가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는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아시아 장에서는 위안화 약세, 국내 증시 하락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환율이 오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26일 서울 외국환중개에 따르면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193.30원) 대비 3.10원 상승한 1193.30원에

마감했습니다. 지난달 13일(1193.80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이날 환율은 전일 대비 0.30원가량 강보합 

출발한 뒤 1190원대 초반대에서 움직였습니다. 

이날 환율 상승은 위안화, 원화 약세 등 아시아 통화 약세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합니다. 달러 인덱스는 전일 

상승분을 일부 되돌리며 96선에서 내리는 모습이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서 금리인상 준비에 들어가야 한단 주장이 다수 나오면서

달러화 강세를 전망한 매수 심리가 작용한 영향도 있었다고 합니다. 

위안화도 약세로 전환했습니다. 달러-위안 환율은 전장 대비 0.05% 오른 6.39위안대에 거래되면서

위안화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가 순매도로 장중 전환해 마감하면서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모두 1%대

하락한 모습을 보여 원화도 약세 압력이 커졌습니다. 이날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각각 1800억 원 팔면서

이틀 연속 매도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47%가량 내렸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의 1500억 원가량 순매수에도 개인의 1300억 원 매도 우위에 지수도 0.96%가량

빠졌다고 합니다. 

외환시장 관계자는 "달러 인덱스가 하락하고 있지만 위안화 약세와 국내 증시 하락 등의 영향을 받아

아시아 장에서는 달러화가 오른 모습을 보였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달러가 계속 오를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7.8 미국 세계 보건기구(WHO) 탈퇴

 

 

 

 

 

금값 & 증시

 

불안 속 안전 자산 선호 심리는 금값을 9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7일 (현지시간) 미국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금은 전 거래일보다 0.9%(16.40달러) 오른 1809.90달러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1온스(31.1그램) 당 216만 원이 넘는 수준입니다. 국제 금값은 지난달 30일에 1800달러선을 넘긴 이후 또다시 1800달러선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지난 2011년 이후 약 9년 만에 최고 수준입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래 일보다 배럴당 0.02%(0.01달러) 떨어진 40.62달러에 마감되었습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9월 물 브렌트유도 오후 2시 50분 현재 배럴당 0.51%(0.22달러) 내린 42.88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이 지난주 미 원유 공급이 감소했다고 발표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재확산으로 인한 에너지 수요 침체 우려가 유가의 발목을 잡았습니다. 

 

 

 

세계 주요 뉴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이 지속되는 와중 미국이 세계 보건기구(WHO) 탈퇴라는 극단적인 카드를 내놨습니다. 중남미까지 영역을 넓혀가는 코로나 19에 브라질 대통령도 이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이처럼 걷잡을 수 없는 추세에 실업률 등에 대한 우려까지 제기되며 간밤 뉴욕 증시 역시 주춤했습니다. 또한 스티븐 비건 국무부 장관이 한미 현한에 대한 협의데 들어가는 날인만큼 이에 관심을 둘 필요도 있습니다. 

 

코로나 19불 안에도 아랑곳 않고 상승세를 이어가던 미국 증시가 주춤했습니다. 7일(현지시간) 미국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1.51%)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 (-1.08%)는 나란히 1%대 하락했습니다. 연신 최고 경신하던 나스닥 지수 역시 이날에는 0.86% 하락해 장을 마감했습니다. 

이날은 코로나19에 더해 단기 급등에 대한 부담감, 다시 커진 실물 경제에 대한 우려가 증시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코로나 19의 2차 유행이 없음을 가정해도 올해 회원국들의 실업률이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수준인 9.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는 등 짙어진 우려가 시장을 잠식했습니다. 그간 시장이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실물 경제를 바라봤다는 인식이 고개를 들고 있는 셈입니다. 

 

세계 보건기구(WHO)의 코로나 19 대응이 중국 편향적이었다고 비판해오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WHO탈퇴 의사를 공식 통보했습니다. 탈퇴 통보는 6일(현지시간) 부로 유효하며, 관련 절차를 밟으면 1년 후인 2021년 7월 6일 실제 탈퇴가 이뤄지게 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미국은 WHO에 1년 4억 5000만 달러를 지불하는데 중국은 4000만 달러밖에 내지 않으면서 WHO를 통제하고 있다'고 중국과 WHO에 강도 높은 비판을 해왔습니다. 이에 이번 탈퇴를 계기로 중국과의 갈등이 더욱 부각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이를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한편 이와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전역의 경제 재개 및 학교 정상화 의지를 피력하고 있는 만큼 미국에서의 코로나19확산세 역시 계속해서 주시할 만하다.

 

볼리비아, 브라질 등을 비롯한 중남미 지역에도 코로나19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7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자이르 보우 소나로 브라질 대통령이 코로나 19 양성 판정을 받았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국제 통계 사이트 월오 미터에 따르면 현재 브라질의 코로나 19 확진자 수는 162만 8283명으로 중남미 지역에서 가장 많으며, 세계에서는 300만 명을 넘겨 1위에 오른 미국의 뒤를 잇는 수준입니다. 

여기에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각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확진자를 모두 고려하면 전체 중남미 지역에서도 누적 확진자가 300만명을 눈 앞에 두고 있는 만큼 심각한 수준입니다. 이에 관련 주가들의 추후 경제 성장 등에도 영향은 불가피할 것으로 풀이됩니다. 

 

2박 3일 간의 방한 일정을 시작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이날 오전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만날 예정입니다. 이어 한 미 외교차관 전략대화 등이 예정돼있는 만큼 한미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SMA) 협상이나 반 중국 경제블록인 '경제번영 네트워크' 참여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어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 등을 통해서도 한반도 정세를 논의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날 합의에 따라 미국뿐만이 아니라 북한, 중국 등 주변 국가들과의 추후 관계의 향방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잠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7.10 국제유가 급락  (2) 2020.07.10
7.9 금값이 오르는 이유  (8) 2020.07.09
7.6 6개월간 22%오른 금값  (6) 2020.07.06
7.3 금값 변동 /미국 증시  (4) 2020.07.03
7.2 국제유가 상승, 금값 전망  (6) 2020.07.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