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스당 3000달러도 간다고 했던 금값

 

2일 시카고 상품거래소(COMEX)에 따르면

금값은 지난달 24일 온스당 1876.9달러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는 7월 23일 이후 처음으로 1900달러선 아래로 떨어진 것입니다. 

금값은 지난 8월 7일 온스당 2028.0달러까지 올랐지만,

그 뒤 하락하면서 1800달러대까지 내려온 것입니다. 

앞서 4월 금값이 치솟으면서 미국 투자은행인 뱅크 오브 아메리카(BofA)는 18개월 내

금이 온스당 30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었습니다. 

마이클 비트머와 프란시스코 블랜치 뱅크오브아메리카 애널리스트는

"투자자들은 금을 노리게 될 것"이라고 얘기할 정도였습니다. 

그간 금값이 오를 수 있었던 배경은 주요국이 코로나19로 붕괴된 경제를 살리기 위해

유동성(자금) 공급을 확대한 덕분입니다. 

이 같은 양적완화 정책은 실질 금리를 끌어내리고 시중에 통화량을 늘립니다.

'돈값'이 떨어지면서 고유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무 이자자산'인 금이 부각된 것입니다. 

하지만 천정부지로 치솟던 금값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달러가 강세로 돌아서면서입니다. 

금은 달러화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 가치 강세는 금의 

상대적 가치를 낮추게 됩니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최근 94.682까지 치솟으면서

최근 2개월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달러 강세 요인으로는 유로화 약세, 미국 재정정책 합의 난항,

시장 단기 변동성 확대 등이 꼽힙니다. 

김유미 킴움증권 연구원은 "유럽에서 코로나 19가 다시 퍼지면서 

유로화 강세에 제동을 걸었고, 미국 재정정책을 두고

합의가 길어지면서 불안감이 커졌다"며 "이에 투자심리가 

훼손되면서 안전자산으로 수요가 늘어난 점이 달러를 밀어 올렸다"라고 판단했습니다. 

 

달러강세로 금값이 주춤하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포트폴리오(주자 자산군)에 금을

담아야 할지를 두고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는 금이 단기적으로 조정 받는 시기는 매수 기회라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금값 상승에 유효한 환경이기 때문입니다. 

달러가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재정지출 확대로 정부의 부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금리 상승을 억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김소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금값 상승에 유효한 환경이 지속될 것"

이라며 "이미 유동성이 많이 공급됐기 때문에 저금리 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향후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발생하면 이 늪 레이션 헤지(위험 회피) 자산인 금은 

더 주목받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단기 조정은 매수 기회"라고 덧붙였습니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도 "미국 중앙은행(Fed)주도의 글로벌 통화정책 완화 기조가

유지되는 한 금이 정점을 통과했다는 우려는 너무 이르다"며 

"금 가격은 향후 12개월 내 2200달러까지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5일 1166~1170원 출발할 전망입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달러화는 미국 비농가 신규고용이 예상보다 부진했던 가운데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 확진 소식 등이 금융시장 내 불확실성을 높이면서 

안전자산 수요 영향에 강세를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국제 금가격, 국제 유가 소폭 상승

 

오랜만에 달러화 약세 전환에 금값이 상승 마감했습니다.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12월 물 금 가격은 소폭 오른 1882.30달러에 마감했습니다. 

 

국제 유가는 미국의 추가 부양책 기대감에 소폭 상승했습니다. 

코로나 19 부양책 협상이 다소 호전 조짐을 보이면서 유가가 올랐다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측 스티븐 므누슨 재무장관과 민주당 측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은 최근 연이은 

협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펠로시 의장은 백악관과 합의 가능성이 있다는 언급을 남겨

투자 심리를 자극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1160원대로 다시 하락할 것으로 보입니다. 

달러화와 위안화 강세가 주춤해졌기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달러화는 미국 추가 부양 조치 합의 기대와 뉴욕 증시 상승과 브렉시트 협상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로 

파운드화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하락 마감했습니다. 

위안화 강세 분위기는 중국의 국제국채지수(WGBI)편입 결정보다 미국 대선 리스크에

더 영향을 받으면서 달러 당 위안화 환율이 6.8위안대를 회복했습니다. 

유럽에서는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의 대변인이 브렉시트와 관련해 

여전히 상당한 의견차가 있지만 협상이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존슨 총리 대변인은 "유럽 의회가 열릴때까지 더 많은 비공식적 대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만약 협상이 타결된다면 10월 중순에는 단행돼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국제 금값이 떨어지는 이유

국제 금값이 상승하고 있던 때에 분석가들은 올해 말에서 내년 초까지도 금값은 계속 오를 것이란 

예상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예상과 다르게 최근 금값은 계속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제 다시 계속 떨어지는 걸까요? 

아래는 현재 금값이 떨어지는 여러 이유들이 분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는 다시 오를 여력이 있다고 합니다..

어느 해 보다도 변화무쌍한 올해인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금값이 다시 올랐으면 좋겠습니다.^^

 

8월 초 트로이온스당 206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던 금 가격이 힘을 잃었습니다. 

코로나 19, 미국 대선 등으로 증시 불확실성이 커져 내년 상반기까지 금 가격 상승 랠리가

펼쳐질 것이란 당초 예상과 다른 흐름입니다. 

 

지난 25일 금 현물 가격은 0.35% 떨어진 트로 이온 스당 1861.59달러에 마감했습니다. 

올초 1529.13달러에서 8월 6일 2063.54달러까지 8개월간 35% 급등했지만 이후 두 달 만에

10%가량 급락했습니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7월 말 내년 금값이 2300달러를 찍을 것이라고 했고, 

4월에는 뱅코오브아메리카가 금값 3000달러를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달러가치가 높아진 것을 금 가격의 하락의 가장 큰 이유로 꼽고 있습니다. 

코로나 19가 유럽을 중심으로 재 확산했고, 미국에서 추가적인 경기부양책이 

나오기 힘들 것이란 예상에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줄어든 것도 금 가격을 낮추는 요인입니다. 금은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으로 사용되기 때문인데요. 전규연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율이 2%대를 넘기기도

힘들어 보인다"며 "다만 올해 상반기 유가 폭락으로 내년 상반기 기저 효과에 의한 기계적인

물가 상승이 불가피해 기대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금 가격 조정은 일시적이라고 보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글로벌 금 상장지수 펀드 (ETF)에 

자금이 꾸준히 들어오고 글로벌 ETF 내 금 보유량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중혁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불확실성이 커지면 

금 수요는 더 늘어날 것"이라며 "미국이 국채를 많이 찍어내 향후 달러화도 약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28일 1174~1175원으로 출발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반등에 따른 위험자산 선호심리 회복에도 유로화 약세로 인한 달러화

강세에 상승 압력이 우세하면서 소폭 오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김유미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달러화는 추가 부양 조치에 대한 합의가 여전히 난항을 겪으며

금융시장 내 불안심리를 자극하고, 유로화가 코로나 재확산 우려로 하락하면서 상승했다" 며

"환율은 달러화 강세 영향 등을 고려햘 때 소폭 상승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