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국제/국내 금값시세, 원-달러 환율 동향, 국제 유가 동향

국제 금값은 3 거래일 연속 올랐습니다.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0.2%(3.30달러) 상승한 1,837.50달러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원.달러 환율

원. 달러 환율이 사흘째 하락 시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경기부양에 대한 기대에 위험선호 심리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 설 연휴를 앞둔 수출 업체들의 이월 네고(달러 매도) 물량이 출회할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원.달러 환율이 1110원 초반으로 하락하자 수입 업체들의 결제(달러 매수) 수요와 저가 매수 수요가 

유입돼 하락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달러인덱스도 전 거래일 뉴욕장 종가 대비 0.54% 하락한

90포인트 선에서 횡보하는 모습입니다. 

10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최근 뉴욕 차액결제 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 달러 환율 

1개월 물은 1111.00원에 최종 호가됐습니다. 최근 1개월 스와프포인트(+0.05원)를 고려하면 이날 원. 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116.60원)보다 5.65원 가량 하락 출발할 것으로 보입니다. 

1.2%까지 올랐던 미국채 10년물10년 물 금리도 하락했습니다. 미국채 벤치마크인 10년 물 수익률은 저가

매수가 유입되자 1.15%대로 내렸습니다. 

유로화도 달러 대비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난해 12월 독일 수출이 전월 대비 0.1%증가해 시장 예상치(-0.6%)를

상회한 영향입니다. 유로 달러는 0.56% 오른 1.2120달러를 기록했고, 파운드 달러 환율 역시 0.5% 올라

1.3812달러를 나타냈습니다. 

위안화 등 장중 원화 동조화 현상이 강한 아시아 통화가 강세를 보인 것도 환율 하락 요인입니다. 

달러 - 위안 역외 환율은 0.35% 낮아진 6.4위안대에 거래됐다. 위안화 환율 하락은 달러 대비 위안화 강세를

의미합니다. 달러-엔 환율도 0.62% 하락한 104.57엔을 나타내 엔화도 달러화 대비 강세를 보였습니다. 

간밤 뉴욕증시는 지난 6 거래일 간의 상승랠리를 멈추고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 역시 설 연휴를 하루 앞두고 투자자들의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긴 연휴를

앞두고 불확실성을 회피하기 위해서입니다. 특히 기관과 외국인은 설과 같은 긴 연휴를 앞두고 

추가 매수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습니다. 

국제유가

국제 유가는 9일(현지시간) 수요 회복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 랠리를 이어갔습니다. 

이날 뉴욕 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0.7%(0.39달러)

오른 58.36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4월 물 브렌트유는 오후 3시 31분 현재 배럴당 0.9%(0.57달러) 오른 61.13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다우존스 마켓 데이터에 따르면 WTI는 7 거래일 연속 올라 2019년 2월 22일 이후 최장기간 상승세를 보였고,

브렌트유는 8 거래일 연속 상승해 지난해 2월 이후 역시 최장기 오름세를 나타냈습니다. 

WTI와 브렌트유 모두 작년 1월 이후 13개월 만의 최고가 행진입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1조 9천억 달러 추가 부양 가능성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보급에 따른

경제 활동 정상화 기대감이 커진 것이 향후 원유 수요의 회복 전망을 밝게 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2월 들어 추가 감산에 돌입한 가운데 작년 말 하루 130만 배럴을 생산한 리비아의 

산유량이 최근 파업 탓에 104만 배럴로 떨어진 것도 유가에는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20년 넘은 노후 주택 집수리 공사비 최대 50%까지 지원

서울시가 다섯 가지 내용을 골자로 한 올해 집수리 지원 내용을 7일 발표했습니다.

 

첫째, 올해 100억 원을 투입해 주택성능개선 지원구역 내 준공 후 20년 이상 경과한

단독주택(다중, 다가구주택 포함)이나 공동주택(다세대, 연립주택)이 단열, 방수 등 주택 성능개선

공사를 할 경우 공사비용의 최대 50%까지 집수리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지원 금액은 건축물 용도와

공사범위에 따라 다릅니다. 단독주택의 경우 최대 1,550만원을 지원합니다.

 

주택성능개선 지원구역은 '서울특별시 저층주거지 집수리 지원에 관한 조례'제6조에 따라 지정하는

구역으로 1월기준 총 141개소가 지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현황은 '집수리 닷컴'홈페이지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시는 2020년 지원건수가 2018년(102건, 약 13억원) 보다 약 12배, 지원금은 약 16배 늘어나는 등 

매년 수요가 폭발적으로 확대되는 점을 고려해 올해 지원규모를 100억 원으로 확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둘째, 올해부터는 도시 미관 공사나 창호, 단열 등 에너지효율 개선 공사 시 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한다고 합니다. 

노후주택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효과적으로 감축하고,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과 기후 위기를 극복하려는

세계적 추세에 발맞춰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건축물 외관 등 미관과 관련된 집수리 시 입면 디자인을 지원하고, 개선 효과가 클 경우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금을 추가 지급한다고 합니다. 창호, 단열공사에 고효율 자재를 사용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경우에도

공사비의 10% 내에서 (단독주택 최대 240만 원, 공동주택 전유부 세대 당 최대 100만 원, 공용 부분 최대

340만 원) 추가 지원한다고 합니다. 

 

더불어 방치되어 있는 민간 소유 빈집에 대해서도 집수리 비용 지원에 나선 다고 합니다. 자발적인 빈집

정비를 유도해 지속적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셋째, '공사업체 등록제'를 본격 시행한다고 합니다. 일정 교육을 이수한 업체를 집수리 닷컴 홈페이지에 

공개해 시민들에게 집수리 업체 정보도 제공한다고 합니다. 

 

2022년부터는 등록되지 않은 업체는 서울 가꿈 주택 집수리 지원사업에 참여할 수 없도록 의무 적용한다고 합니다.

시는 업체 평가를 통해 우수업체를 선발하는 등 집수리 공사의 사공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넷째, 집수리 보조, 융자금 지원 신청서는 하나로 통합해 한번에 신청이 가능하도록 했다고 합니다. 첨부서류도

간소화해 접수 편의를 높였습니다. 융자금의 경우, 집수리 공사 시행 중에도 신청이 가능하도록 신청기준을

완화해 시행한다고 합니다. 

 

다섯째, 건축 전문가(집수리 전문관 109명)가 직접 방문해 집수리 공사, 방법 등 기술적인 내용이며 가꿈 주택

집수리 지원 신청 전에 상담을 받을 경우 공사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집수리 보조, 융자금 신청, 소재지 구청에서 상시 접수

 

시는 집수리 지원 보조, 융자금 신청서를 2월 15일부터 7월 30일까지 주택 소재지의 구청을 통해 

상시 접수한 다고 합니다. 

 

공고문 및 신청서 양식은 오는 15일부터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와 집수리 닷컴 

홈페이지(jibsuri.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jibsuri.seoul.go.kr/

 

서울시 집수리닷컴

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the video tag.

jibsuri.seoul.go.kr

서울시 도시재생 실장은 "노후주택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주거환경 안정을 위해 절차 간소화 등 

제도를 개선하고 지원규모를 확대하겠다. 그린 뉴딜 정책과 연계해 노후주택 에너지 효율 개선

공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서울 가꿈 주택 집수리 지원사업을 통해 노후 저층주택

밀집지역의 도시미관이 개선되고, 에너지 사용량 감소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고 말했습니다. 

2.9 국제/국내 금값시세, 원.달러환율 동향, 국제 유가 동향

국제 금 가격은 미국의 추가 부양 전망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1.1%(21.20달러) 뛴 1834.20달러에 마감했습니다. 

 

원. 달러 환율

원. 달러 환율이 이틀 연속 하락 시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조 바이든 행정부의 경기부양책 낙관론에 기댄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이어져 글로벌 증시가 랠리를 펼친

영향입니다. 달러 약세 흐름에 더해 국내 증시로의 외국인 자금 유입이 재개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달러 인덱스는 전일 90선으로 하락한 뒤 횡보하는 모습입니다. 

9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최근 뉴욕 차액결제 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 달러 환율 1개월 물은 

1117.25원에 최종 호가됐습니다. 최근 1개월 스와프포인트(+0.05원)를 고려하면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117.20원)보다 2.4원 가량 하락 출발할 것으로 보입니다. 

뉴욕증시는 미국 경기 부양책과 코로나 백신 효과 기대에 랠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6 거래일째 상승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오랜 시간 상승세가 지속된 것입니다. 

8일(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37.52포인트(0.76%)

오른 3만 1385.76에 장을 마쳤습니다. s&P500지수는 28.76포인트(0.74%) 오른 3915.59를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131.35포인트(0.95%)상승해 1만 3987.64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경기 낙관론을 이끄는 것은 미 상.하원이 지난 5일 예산 결의안을 통과시켰다는 점이라고 합니다. 공화당의

반대와 상관없이 민주당 단독으로 1조 9000억달러 규모 경기 부양 법안을 처리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돼 부양책 시행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미국의 코로나19백신 접종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며 유럽, 일본 등에 비해 경기회복 속도가 빠르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현재 미국 백신 접종은 100명당 12.5명으로 주요국 중 영국의 

18.5명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에 미 30년 물 국채 금리 역시 장 중 최고 2%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국채 금리 상승은 국채값 하락을 뜻한다고합니다.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에 퍼진 위험 자산 선호 심리 영향에도 국내 증시는 주춤하는 모습입니다. 

거래 대금이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4분기 어닝서프라이즈를 낸 상장사들이 많지 않고, 

설 연휴를 앞두고 관망세가 짙습니다. 

국제 유가

국제 유가가 1년 만에 60달러를 돌파하자 정유주도 덩달아 수혜를 입게 되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유가 강세를

전망하며 정유주에 대해 긍정적 분석을 내놨습니다. 

정유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이는 배경으로는 국제유가 급등이 꼽히고있습니다. 8일(현지시간) 북해 브렌트유

4월 인도분 선물은 전장 대비 1.22달러(2.1%)급등한 배럴당 60.56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브렌트유가 배럴당 60달러를 돌파한 것은 지난해 1월 24일 이후 1년여 만입니다. 

미국 WTI(서부텍사스원유) 3월 인도분 역시 전 거래일 대비 1.12달러(2%) 오른 배럴당 57.97달러로 체결

됐습니다. 역시 지난해 1월 이후 최고치입니다. 코로나 19 백신 보급 등으로 경제 정상화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원유 수요 회복 기대가 커진 덕분입니다. 

증권가의 정유업종 전망도 긍정적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감산을 통한 유가 부양 의지, 미국 기존 화석연료

사업에 대한 불확실성, 코로나19백신 보급에 따른 경제 정상화 기대감 등이 유가상승을 견인하면서입니다.

미국 EIA(에너지 정보청)는 원유 수요가 올해 일당 560만 배럴, 내년에는 일당 330만 배럴 순증 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추가 유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호재입니다. 석유 의존도가 높은 사우디가 감산 정책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최근 미국 산유량 회복이 더뎌지며 사우디가 산유량 정책에

유가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욱 커졌습니다. 

심수빈 키움증권 연구원은 "사우디는 계속해서 점유율 확대보다는 가격 상승에 포커스를 맞출

가능성이 높다"며, "석유 수요가 정점에 달하기 전 석유 의존도가 낮은 경제 구조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심 연구원은 "전세계적인 탄소 배출 절감 노력 강화로 중장기 석유 수요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점도 사우디의 유가 상승 의지를 강화시켰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유가 강세는 정유업체의 마진 개선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2021년 서울시 문화정책- 올해 새로 생기는 문화시설

서울시가 '2021년 서울시 문화정책'을 발표하고, 올해 총 5241억 원의 예산을 투자한다고 합니다. 

주요 사업은 1. 문화 인프라 구축(1,060억 원) 2. 코로나 피해 문화예술계 회복 및 지속 가능한 창작, 향유 환경

(2,141억 원) 3. 역사문화 보존, 활용 및 디자인으로 시민 삶 개선(2,040억 원)등입니다. 

 

1. '딜쿠샤'등 4개 문화시설 개관, 공공도서관 건립 - 문화인프라 구축

 

우선, 서울시는 코로나시대 집 가까운 곳에서 문화생활을 즐기고자 하는 수요와 요구가 높아진 만큼, 

문화 소외지역을 중심으로 촘촘한 인프라를 보강해 지역 간 문화격차를 대폭 완화하고, 시민들의 

문화향유권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 곳곳 특색 있는 문화시설 4개소도 문을 연다고 합니다. 3월 '딜쿠샤'를 시작으로 5월에는 국내 최초

공예전문 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 6월에는 대학로 옛 동숭아트센터를 리모델링한 '예술청', 

12월에는 평창동에 위치한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가 개관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딜쿠샤는 3.1운동을 전 세계에 알린 '앨버트 테일러' 가옥 '딜쿠샤'의 원형을 복원한 전시관으로 

3월 1일 개관해 독립운동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아울러 시는 지난 10년간 문화가 도시 경쟁력이 되는 '박물관, 미술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박물관, 

미술관 5개소를 건립했고, 향후 2024년 가지 9개소를 더 건립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특히 금천구 '서서울미술관',

도봉구 '서울사진미술관'등 서남권, 동북권 등 문화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 미술관, 박물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고합니다. 

또한 올해 13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도봉구 '한옥도서관', 중랑구 '면목동 도서관', 은평구 '응암 정보도서관'등

7개 자치구에 12개 공공도서관 건립을 지원하고, 앞으로 매년 8개소 이상의 공공도서관 건립을 추진해

지속적으로 도서관을 늘린다고 합니다. 

동시에 작은 도서관 350 개관과 장애인도서관 10 개관을 포함한 공공도서관 547 개관에 장서 확충 등

운영을 지원해 모든 시민이 양질의 도서관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한다고 합니다. 

 

2. 문화예술계 회복에 2,141억 - 예술활동, 일자리 지원, 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

 

예술인 창작지원에 총 150억 원을 투입하고, 2,870개의 예술 분야 일자리를 창출한다고 합니다. 

축제, 행사 관련 업계 지원을 위한 75억 원의 예산도 3월 중 조기 집행하여 210여 개의 축제가 코로나 상황에 따라

안전하게 진행되도록 할 계획입니다. 지원사업의 자세한 사항은 서울문화재단(www.sfac.or.kr)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면 공연이 어려운 공연예술계에 비대면 공연 영상제작을 지원하는 '(가칭) 남산 실감형 영상제작

창작 스튜디오'는 올해 공사를 거쳐 2022년 상반기에 개관하고, 회의, 포럼, 강연 등 다양한 비대면

행사가 가능한 DDP화상 스튜디오 '서울-온'도 올해 4월부터 운영한다고 합니다. 

문화예술로 시민들을 위로하는 '문화로 토닥토닥'프로젝트도 계속된다고 합니다. 시민 누구나 안전하게

문화예술을 즐기고, 관객과 만날 기회가 줄어든 예술인들에게 활동 무대를 제공하는 비대면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2월부터 만날 수 있다고 합니다. 

 

3. 역사문화 보존, 활용, 디자인으로 시민 삶 개선

 

2천 년 역사를 간직한 서울의 가치를 확산하고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역사문화 보존,

활용 사업도 계속된다고 합니다. 코로나 상황에 따라 안전한 방법으로 역사문화시설과 전통문화 프로그램 운영을

재개하고, 살아있는 역사유산을 활용한 랜드마크 조성을 통해 코로나 이후도 준비합니다. 

또한 시민의 삶을 개선하는 공공디자인 사업도 확산합니다. 지난 10년간 사회의 크고 작은 문제를 

디자인으로 해결해온 '사회문제 해결 디자인', 모두가 안전하고 편안한 도시를 만드는 '유니버설디자인',

서울을 지붕 없는 미술관으로 만드는 '공공미술'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필요한 공공디자인을 

선도적으로 이끌어나간다는 계획입니다. 

 

2.8 국제/국내 금값시세, 원.달러 환율 동향, 국제 유가 동향

금값은 반등했습니다.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1.2% 오른 1,813달러에 마감했습니다. 

 

원. 달러 환율

원. 달러 환율이 사흘 만에 하락 시도를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추진하는 대규모

경기 부양책이 의회를 통과할 것이란 기대감에 따른 것입니다. 달러 인덱스는 91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나 전 거래일보다 소폭 하락 거래 중입니다.

8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최근 유욕 차액결제 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 달러 환율 1개월 물은

117.80원에 최종 호가됐습니다. 최근 1개월 스와프포인트(+0.10원)를 고려하면 이날 원. 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123.70원)보다 6.0원가량 하락 출발할 것으로 보인 다고 합니다. 

금융 시장 전반엔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커진 상태입니다. 지난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30% 상승한

3만 1148.24에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0.39% 오른 3886.83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57% 뛴 1만 2856.30을 기록했습니다. S&P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신고점을 갈아치웠습니다. 

달러 인덱스는 5일(현지시간) 오후 5시께 91.00선으로 4일 뉴욕 증시 마감께 91.53에 거래됐던 것보다 소폭

하락했습니다. 미국 1월 비농업 고용지표는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지만 나빠진 경제지표가 

부양책의 의회 토오가 가능성을 높일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비농업 분야 취업자 수는 

4만 9000명 증가에 그쳐 예상치(10만 5000명)를 대폭 하회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는 1조 9000억 달러 규모의 부양책 처리도 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미국 상원,

하원에서 2021년 예산안을 결의키로 했습니다. 민주당은 공화당 동의 없이 단독으로 과반의 

동의만 얻으면 되는 예상 조정권을 사용, 부양책을 처리할 예정입니다. 제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은

1조 9000억 달러의 부양책이 통과될 경우 미국은 내년 완전 고용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옐런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길고 느린 회복을 겪어야 할 이유가 전혀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위험 자산 선호 심리가 전반적으로 퍼지면서 코스피 지수 역시 상승세를 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 5일 코스피 시장에서 2000억 원에 가까운 순매수세를 보였습니다. 

국제유가

국제유가가 어느덧 배럴당 60달러선에 다가섰습니다. 

5일(현지시간) 뉴욕 상업거래소에서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배럴당 

1.1% 상승한 56.85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지난해 1월 22일 이후 최고치입니다. 이번 주 들어 9% 오른 

'원유 랠리'가 지속하고 있습니다. 국제유가는 팬데믹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했습니다. 

경제 회복 기대감이 유가를 끌어올리는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백신 보급이 광범위하게 

퍼지면 미국 등을 비롯한 주요국 경제가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가 시장에는 적지 않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는 북서유럽에 대한 판매가를 전월 대비 배럴당

1.40달러 올렸다고 합니다. 원유 수요가 점점 살아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21년 설 '고강도 방역'과 '민생경제 활력' 중심 '2021년 설 종합대책' 

서울시는 올해 설 연휴기간 동안 '고강도 방역'과 '민생경제 활력'을 양대 축으로 하는 '2021년 설 종합대책'을

시행한다고 합니다. 

시는 10일 오후 6시부터 15일 오전 9시까지 서울시청 1층에 24시간 '종합상황실'을 설치, 운영해 

연휴기간 발생하는 긴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계획입니다. 

'2021년 설 종합대책'은 안전, 교통, 생활, 물가, 나눔 총 5개 분야 20개 세부 과제로 추진됩니다. 

 

 

안전 ㅣ 노숙인시설 코로나 19 전수검사, 선별 진료소, 감염병 전담 병원 지속 운영

 

'코로나 19 서울시 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을 정상 가동하고, '선별 진료소'를 자치구 별 각 1개소

이상 운영 유지한다고합니다. 감염병 전담병원과 생활치료센터도 상시 운영합니다. 

해외입국 외국인 유학생의 원활한 자가격리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 전용 임시 생활시설을 

지정, 운영(2.1~)합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5개 시설 1천 객실을 확보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자가 격리자 관리를 위해 24시간 모니터링 및 긴급대응체계를 운영하여 물품 전달 및

무단이탈 불시점검을 실시합니다. 

감염위험에 노출된 노숙인 시설 이용자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코로나 검사를 추진(2.3~2.9)하며,

설 특별방역 대책기간(2.1~2.14) 대형 쇼핑몰, 전통시장 등 다중이용시설 방역 점검을 실시합니다. 

 

이동 자제를 유도하기 위해 2월 6일~7일, 2월 11일~14일 기간 동안 시립 장사시설 실내

봉안당을 폐쇄하고, '온라인 세배 캠페인'을 추진한 다고 합니다. 시립 장사시설 이용자에게 '사이버

추모의 집'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도시 기반시설 공사장 192개소, 대형 건축허가 공사장 298개소, 시 직영공원 26개소의 

시설물 안전점검 등을 실시합니다. 올해는 특히 생활치료센터, 감염병 전담병원, 노인의료복지시설 등

코로나 19 관련 시설 695개소를 대상으로 화재 안전 점검(1.22~2.5)을 실시한다고 합니다. 

교통 ㅣ 지하철 - 버스 막차시간 연장 미실시, 서울역 등 8개 주요 역사 집중 방역

 

올해는 이동 자제를 위해 대중교통 막차시간 연장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지하철, 버스 방역을 지속하고

터미널과 주요 역사에 대한 특별 방역도 실시합니다. 

 

열차는 입고 시마다 소독하며 역사 화장실 등은 일 2회 이상 방역을 실시합니다. 주요 역사(서울, 고속터미널,

김포공항 등) 8곳에는 방역 인원을 집중 투입한다고 합니다. 

 

버스 차량 내부는 매 회차 시 내부 분무 소독을 실시하고, 승차대 구조물은 주 1회 방역을 실시합니다.

 

터미널에는 감염 의심자 격리소를 운영하여 감염의심자 발생 시 즉시 격리한다고 합니다. 

터미널 내 방역 소독을 1일 3회 이상 실시하고 감염예방 행동수칙을 전광판, 안내방송 등을 통해

안내한다고 합니다. 

 

생활 ㅣ 971개 병, 의원 2,605개 약국 연휴 중 운영 - 생활문의 120 다산콜

 

연휴기간 문 여는 병, 의원 및 약국을 지정하고 환경미화원 특별 근무 실시, 120 다산콜센터 24시간 운영 등을

통해 시민생활 불편을 최소화한다.

연휴 기간 문 여는 병, 의원 971개소와 약국 2,605개소를 지정하여 연휴기간 응급환자에 대비하고,

24시간 운영하는 응급의료기관 65개소를 통해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한 다고 합니다. 

 

중앙응급의료센터

https://www.e-gen.or.kr/egen/main.do

 

E-GEN | 응급의료포털 E-Gen

주변에 위치한 응급실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www.e-gen.or.kr

 

휴일지킴이 약국

https://www.pharm114.or.kr/main.asp

 

휴일지킴이약국 - pharm114

패밀리 사이트 바로가기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청 (사)대한약사회 (재)약학정보원 약사공론 중앙응급의료센터 시도지부 관리자페이지

www.pharm114.or.kr

쾌적한 환경 유지를 위해 연휴 이전 민관합동 일제 청소를 실시한다고 합니다. 

연휴기간에는 쓰레기 투기 우려지역 순찰기동반 활동을 실시하고, 환경미화원 특별근무를 실시해 쾌적한 환경 

유지에 힘쓴다고 합니다. 

120 다산콜센터도 시민 불편사항을 24시간 상담합니다. 대중교통 막차시간, 쓰레기 배출정보 등 생활정보뿐만

아니라 코로나 19 전용 코드 '0'번을 별도로 운영하여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다고 합니다. 

 

물가 ㅣ 10% 할인 '서울사랑 상품권' 판매, 최대 30% 할인 온-오프 '상생 상회 특별전'

 

명절 바구니 물가 상승을 막고 골목경제 활성화와 도농상생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대책을 실시한다고 합니다.

사과, 배, 조기 등 9개 성수품 공급물량을 최근 5개년 거래물량 중 최고, 최저값을 제외한 3년 평균 거래

물량 대비 110% 수준으로 공급하여 성수품 가격 안정을 도모한 다 고합니다. 

농, 수, 축산물에 대한 매점매석 행위나 가격담합, 가격표시제 미이행 등 불공정거래를 근절하기

위한 점검반도 편성해 집중 관리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설맞이 서울사랑 상품권을 발행하여 침체된 지역상권을 살리고 서울시민의 알뜰한 장보기를 지원합니다.

총 4천억 원 규모, 10% 할인율로 2월 3일부터 자치구 별로 발행하고 있으며, 1인당 월 70만 원까지 구매

가능하고 최대 200만 원까지 보유할 수 있습니다. 

 

https://news.seoul.go.kr/economy/archives/511292?tr_code=sweb

 

2021 상반기 서울사랑상품권 발행일정 안내

2021년도 상반기 서울사랑상품권 발행일정을 안내합니다.

news.seoul.go.kr

'설 상생 상회 특별전'을 온. 오프라인 병행 개최하여 14개 시, 도 180여 개 농가의 400여 품목을 중간 유통과정 없이

직거래 방식으로 최대 35% 할인 판매합니다. 

 

https://sangsaeng.seoul.go.kr/

 

상생플랫폼(서울시지역상생교류사업단)

서울시지역상생교류사업단, 상생상회, 지역상생사업, 서울농장, 상생플랫폼

sangsaeng.seoul.go.kr

나눔 ㅣ 취약, 소외계층 대상별 맞춤 지원, 취약 어르신 비상연락체계 구축, 운영

 

코로나 19 감염을 예방하면서 노숙인, 쪽방주민 등 소외이웃 대상별 맞춤 지원을 실시하고, 취약 어르신 안전도

확인합니다. 

노숙인 시설에서는 전통놀이 등 명절맞이 여가 활동은 자제하고 차례상 차리기는 사회적 거리두기 및 

방역지침을 준수하여 운영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쪽방촌에서는 마을 잔치 등 많은 인원이 모이는 단체 식사는

금지하고 도시락 등으로 대체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노인, 장애인, 종합 복지관의 주요 명절 프로그램 또한 비대면 방식으로 실한다고 합니다. 설맞이 특식, 

명절 키트(떡, 한과 등), 후원물품 등을 각 지역 복지관 서비스 대상 가정으로 개별 전달합니다. 

연휴 전, 후 취약 어르신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해 생활 지원사와 사회 복지사 총 3,020명을 동원, 만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등 돌봄 필요 어르신 33,939명 대상 유선 및 방문 안전 확인을 실시한다고 합니다. 

또한 응급상황 대비 비상연락 체계를 유지하여 어르신의 안전한 설 나기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2.5 국제/국내 금가격 시세, 원.달러 환율 동향, 국제 유가 동향

국제 금값은 하락했습니다.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전 거래일과 비교해 온스당 2.4% 떨어진 1791.20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경기 반등 기미가 보이자 초안전자산의 가치가 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원. 달러 환율

원. 달러 환율이 1120원대 회복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 다고 합니다. 뉴욕증시가 나흘 연속 상승하는 등 위험선호

심리 회복에도 유로화 대비 달러 강세를 보인 영향이라고합니다. 다만 중공업 수주 물량을 비롯한 수출

업체들의 이월 네고(달러 매도)는 환율 상단을 경직하고, 국내 증시에서의 외국인 자금 유입 등은

추가 상승을 막아 1120원 초반대 중심의 등락이 예상되고있습니다. 

4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뉴욕 차액결제 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 달러 환율 1개월 물은 1120.15원에

최종 호가됐습니다.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0.05원)를 고려하면 이날 원. 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118.50원)보다 1.60원 가량 상승 출발할 것으로 보입니다. 

게임스탑 발 변동성 심화로 흔들렸던 뉴욕증시는 미국 고용 소폭 회복 소식에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키웠습니다. 간밤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8% 상승한

3만 1055.86에 마감했습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화의 가치 수준을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91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현지시간) 오후 6시께 달러 인덱스는 91.53으로 전 거래일보다 0.02% 상승 거래되고 있습니다. 

유로화가 달러, 파운드 동반 강세 속 유럽 주요국 봉쇄조치 해제 지연과 백신 보급 부진 등으로 큰 폭

하락한 영향입니다. 메르켈 독일 총리는 최근 신규 코로나 19 감염 완화에도 조기 봉쇄조치 해체는 

시기상조라고 경고했습니다. 

서울 외환시장에선 위험 선호 심리 영향보다는 외국인들의 방향성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일 외국인은 나흘 만에 순매도세로 전환해 7000억 원 가까이 팔았습니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밤사이 유로화가 주요 지지선을 일제히 하향 돌파해 급락하면서

달러화가 급상승했다"면서 "이에 어제 장 막판 고점 매도로 대응했던 역외 숏커버(달러 매도)와 

달러 강세를 쫓는 롱플레이(매수)가 유입되며 오늘 환율 상승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하며

수입업체 추격매수를 비롯한 역내 실수요 매수 대응도 환율 상승 압력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국제유가

국제유가가 또 올랐습니다. 

4일(현지시간) 뉴욕 상업거래소에서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배럴당

1% 상승한 56.23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팬데믹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했습니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4월 물 브렌트유 역시 58달러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유가가 상승세를 이어간 건 미국의 재고 감소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 원유 재고는 지난해 3월 이후 가장 낮은 4억 7570만 배럴까지 감소했습니다. 

공급 부족 울까 유가를 끌어올린 것입니다. 

게다가 고용 등 미국 내 경제지표들이 조금이나마 반등하고 있는 점 역시 유가를 

띄우고 있는 재료입니다. 

WTI 가격은 팬데믹 이후 폭락했습니다. 지난해 1월 말 해도 '스위스 스폿(수급상 가장 적정한 가격대)'으로

불리는 배럴당 50~60달러대를 유지했지만, 그해 3월 16일(28.70달러) 코로나 19 공포에는 

처음 20달러대로 진입했습니다. 이후 4월 중하순께 10달러대까지 곤두박질쳤습니다. 

현재 WTI가격대는 코로나 19 이전 수준으로 반등한 수치입니다. 

 

무료로 즐기는 온라인 전시 추천

서울디자인재단이 그림책 작가 10명의 주요 작품을 시민참여형 인터랙티브 아트로 재구성한

온라인 전시 '일상의 예술, 그림책 전'을 열었습니다. 오는 2월 14일까지 온라인(play-link.gitlab.io)에서

시민 누구나 무료 관람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참여작가 10인의 그림책에 수록된 원화 작품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한편, 

참여작가 10명의 주요 작품을 인터랙티브 아트 콘텐츠로 구현했다고 합니다. 관람객들은 인터넷이 가능한 

어디서든 휴대폰, 태블릿, PC등을 이용해 언제든지 체험할 수 있습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fnj/products/5272247076

 

논슬립 실리콘 내열 오븐 베이킹 주방 장갑 2P : FnJ

실리콘 오븐 주방 장갑 2P 주방장갑,북유럽주방소품,냄비장갑,오븐장갑,주방장갑, 실리콘 주방장갑 논슬립 내열 오븐 베이킹 실리콘 장갑

smartstore.naver.com

시민들을 위한 온라인 교육과 체험 프로그램이 이번 전시의 특징이고 작가의 작품을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활동을 해 볼 수 있습니다. 

 

팝업북을 만드는 방법이랑 도안도 있으니 프린트해서 아이와 함께 따라 해 보시면

간단하지만 아이들이 아주 재밌어한답니다~^^

https://play-link.gitlab.io/ 

 

일상의 예술, 그림책 전

Picturebook: play and link

play-link.gitlab.io

 

 

 

위로가 되는 문장들 ㅣ 내 책 속 한 문장

 

코로나 기간 동안 서울시민들의 독서생활은 어땠을까? 서울도서관은 지난해 진행한 '내 책 속 한 문장 공모전'에서

선정된 총 135점의 작품을 온라인 전시로 마련했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는 코로나 19에 지친 시민을 위로하고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기획됐습니다. 시민들이

응모한 캘리그래피, 사진, 그림 등을 감상할 수 있는 '내 책 속 한 문장'전시와 시민들이 선택한 문장들에

포함된 단어를 큐레이션 한 '단어와 문장들'로 구성되었습니다. 

 

'내 책 속 한 문장' 전시에서는 서울 시민이 직접 선정하고 표현한 135점의 책 속 '한 문장'작품들을

온라인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관람객들은 점 잇기, 문장 만들기 등을 통해 인터렉티브 감상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단어와 문장들'에서는 시민이 고른 책 속 문장들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여 그중 가장 빈도수가 높은

단어를 '감정, 시간, 관계, 삶, 이상, 몸과 마음, 성공과 실패'라는 7개의 가치로 구성했습니다. 

 

http://onesentence.kr/

 

내 책 속 한 문장

 

onesentence.kr

 

원시림을 걷는 듯한 착각 ㅣ 숲의 이면

 

서울식물원은 숲을 주제로 한 기획전시 '숲의 이면'전을 3월 14일까지 진행한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국내 작가 5인(김미경, 남화연, 박형근, 이재삼, 파랑)의 작품 21점을 비롯해 콜롬비아 다큐멘터리 작가

2인(클레어 웨이스코프, 파트리시아 아야라)의 영상 2점, 주한 콜롬비아 대사관이 서울식물원에 기증한 

세밀화를 선보입니다. 서울식물원 유튜브 채널에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fnj/products/4701238740

 

FnJ 데칼 논슬립 요가 타올 예뻐서 시선집중 요가매트! 빠른 물기 흡수로 상쾌하게! : FnJ

서지혜구르기 운동 서지혜홈트 매트 타올 데칼 논슬립 요가타월 타올 미끄럼방지 그라데이션 타올매트 자세보정 여성 땀흡수 깔끔 세탁가능 간단한 운동용품 6가지 색상

smartstore.naver.com

오프라인에서도 전시를 만날 수 있습니다. 식물문화센터 2층에는 숲 주제의 사진과 회화 작품이 전시된다고 합니다.

특히 작품이 걸린 벽을 따라 장막을 드리우고 자연의 소리를 연출해 전시를 감상하는 동안 마치 원시림을 

거니는 듯 착각을 일으키도록 기획했다고 합니다. 마곡 문화관에는 사진, 영상 작품을 포함해 콜롬비아

'비차다', '타카르쿠나'의 과학탐사 다큐멘터리와 18세기 '누에바 그라나다 왕립 식물 원정대'의 

식물 세밀화를 전시한다고 합니다. 

 

위에 사진을 보기만 해도 우와.. 정말 원시림에 있는 것 같이 빨려 들어갈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EEMVaD6Os4

 

디자인을 통해 만나는 일상 ㅣ 행복의 기호들

 

DDP 디자인 뮤지엄이 2021년 12월 23일까지 소장품 온라인 전시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코로나 이전의 일상을 디자인의 관점에서 재해석했습니다. 

 

'행복의 기호들'은 일상을 5가지 행위로 바라보고 각 행위에 해당하는 디자인, 광고, 텍스트를 살펴보는데,

5가지 행위는 음악 듣기, TV보기, 청소하기, 세탁하기, 음식 보관하기입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5가지 행위에 대한 국내외 디자인 사적으로 유의미한 디자인 제품을 관람할 수 있습니다. 

'JVC 텔레비전 3240', '금성 컬러텔레비전 402'등 많은 이들이 사랑했던 제품과 

디자인을 만날 수 있는 기회입니다. 

http://symbolsofhappiness.or.kr/

 

행복의 기호들 – Symbols of Happiness

디자인을 통해 본 코로나19 이전의 일상과 그 속에 자리하는 꿈, 환상, 이데올로기!

symbolsofhappiness.or.kr

 

설 연휴에도 안방 1열에서 즐기는 문화생활

 

서울시는 올해 설 연휴 동안 코로나 19 확산을 막기 위해 집에 머무는 시민들이 온라인으로 전시,

공연, 축제 등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프로그램들을 소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스토리인 서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